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3

2020-09-03(木), 분명 포스팅 속도는 빨라진다만.. 하다보니.. 요령이 생기는 건지... 그냥 빨리 어케 끝내보자는 생각인건지 ㅋ;; 포스팅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걸 느낍니다만...... 아직도 2일차. 오늘 4일차 끝남. 와우! 주말에 해서 완벽히 끝내지 않는 이상 답이 없어보임. 매일 진도를 나가니 절대 좁혀지지 않고 있음;;;; 포스팅 속도를 훨씬 상회하는 하루 진도 ㅎㅎ 쨋든... 학교 성폭력 어쩌고 그거 동영상 들어야되고 진로 선택 확인하고 매주 주말에 UX 디자인 강의도 들어야하고. 금요일날 끝내고 한 번 어떻게 해야할지 계획도 세워봄이 좋을 듯 하다. 할께 너무 많아. 2020. 9. 4.
0901_2일차_Python08_문자열3_인덱싱_슬라이싱 문자열 설명 3번째이자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에 대한 설명입니다. 인덱싱(idexing)과 슬라이싱(slicing)은 선택한 특정 값을 얻어내는 작업입니다. """ 집합형 자료형 1) 문자열 a. 문자열 생성 방법 b. 문자열 제공 함수 ==> dir(str) 확인 가능 c. 인덱싱 및 슬라이싱 가. 인덱싱 ==>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를 얻는 작업 나. 슬라이싱 ==>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의 범위를 얻는 작업 * 문자열 저장은 배열에 저장된다. 순방향 인덱싱 / 슬라이싱 : 앞부터 검색 ( 0 부터 ) 역방향 인덱싱 / 슬라이싱 : 뒤에서부터 검색 ( -1 부터 ) d. 문자열 특징 """ 먼저, 인덱싱(indexing)입니다. 인덱싱은 특정 위치를 지정해서 값 하나만을 얻어내는 작업입니다. 변수명[.. 2020. 9. 4.
0901_2일차_Python08_문자열_함수 문자열 설명 2번째이자 문자열 함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먼저 문자열에서 사용가능한 함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문자열에서 어떤 함수를 사용할 수 있는지 알고싶다면 print(dir(str))으로 알아볼 수 있고 각 함수에 대한 설명은 help(데이터형.함수명)으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집합형 자료형 1) 문자열 a. 문자열 생성 방법 b. 문자열 제공 함수 ==> dir(str) 확인 가능 * 함수 (function) ==> 데이터를 이용해서 특별한 기능(동작) 처리할 때 사용 * 특정 객체(데이터)의 함수 정보보기 dir(데이터) ==>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함수 정보 반환 #함수 사용 설명 보기 help(str.count) c. 인덱싱 및 슬라이싱 d. 문자열 특징 """ 문자열 데이터에서 사용할.. 2020. 9. 4.
0901_2일차_Python08_문자열_생성방법_특징 전에 데이터 타입을 보면서 잠깐 설명했던 집합형 데이터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부터 문자열, 리스트, 튜플, 셋, 딕셔너리까지 모든 집합형 데이터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으로 문자열 데이터입니다. 문자열의 생성방법, 제공되는 함수, 인덱싱과 슬라이싱, 문자열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집합형 자료형 1) 문자열 a. 문자열 생성 방법 b. 문자열 제공 함수 c. 인덱싱 및 슬라이싱 d. 문자열 특징 """ 먼저 문자열의 생성 방법입니다. #1. 문자열 생성 방법 4가지 m = "hello" m2 = 'hello' m3 = """hello""" m4 = '''hello''' print(m, type(m)) print(m2, type(m2)) pr.. 2020. 9. 4.
0901_2일차_Python08_멤버십연산자 멤버십연산자는 집합형 데이터 안에 지정된 값이 포함되어있는지 체크하는 연산자입니다. 변수명 = 값 in 집합형 으로 사용합니다. """ 멤버십 연산자 ( in 연산자 ) ==> 집합형에서 임의의 값이 존재하는가? 문법(Syntax) : 값 in 집합형 데이터/변수 => 리스트, 튜플, 문자열 사용 가능 ==> value 존재 여부 확인 딕셔너리 ==> Key 존재 여부 확인 """ 먼저 집합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멤버십 연산자입니다. #1. 변수 미사용 print(10 in [10, 20, 30]) # True# 리스트 print(100 in [10, 20, 30]) # False print(10 in {10, 20, 30}) # True# 셋 print(10 in (10, 20, 30)) # True# .. 2020. 9. 4.
0901_2일차_Python07_논리연산자 논리연산자는 문장에 따라 논리형(bool)의 결과 값이 나옵니다. 이는 조건문에 자주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논리 연산자 ==> 논리값(True/False)으로 연산 ==> 목적 => 조건이 여러개인 경우 사용 가. and (그리고) 나. or (또는) 다. not (부정) """ 먼저 and는 모든 조건값이 True일 때 ==> True 값을 반환하고 나머지의 경우에는 ==> False 값을 반환합니다. #1. a and b ==> 그리고 print(True and True) # True print(True and False) # False print(False and True) # False print(False and False) # False print("="*40) # 질문? : 4가 3보.. 2020.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