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3 0904_5일차_함수_람다함수 이번엔 함수 파트 중 거의 마지막, 람다함수입니다. 람다함수는 일반함수의 다른 표현 방법입니다. (단, 함수의 문장이 단일 문장인 경우에만 람다함수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함수의 이름이 없기때문에 반드시 변수에 저장해서 사용합니다. ==> 1급 객체 형태로 사용 문법 (Syntax): 변수명 = lambda 파라미터 변수 : 표현식 """ 람다함수(lambda) 1) 4가지 형태의 일반함수의 다른 표현방법이다. 단, 함수의 문장이 단일 문장인 경우에만 람다함수로 표현 가능하다. 2) 특징: - 익명함수 (anonymous function, 함수의 이름이 없다.) 따라서, 변수에 저장해서 사용한다. 변수명(A) = 람다 함수(함수객체) #변수명으로 호출 * 변수명(A)를 이용해서 무엇을? ===> 일급객체.. 2020. 9. 7. 0903_4일차_연습문제 def main(): ''' * 제공된 요구사항을 순서대로 구현하고 최종적인 결과를 출력한다. 1) 다음 아이스크림 이름과 희망 가격을 딕셔너리로 구성하여 icecream_price 변수에 저장한다. 이름 희망가격 -------------- 메로나1000 폴라포1200 빵빠레1800 2) 위의 딕셔너리에 다음 아이스크림 가격정보를 추가하라 이름희망가격 ------------- 죠스바1200 월드콘1500 3) 메로나 가격을 출력하라. 실행예> 메로나 가격: 1000 4) 메로나의 가격을 1300으로 수정하라 5) 딕셔너리에서 메로나를 삭제하라 ''' # 1. 요구사항 ####### 구현 시작 ################ ########구현 끝 ####################### # 2. 요구사항.. 2020. 9. 6. 0903_4일차_함수_일급객체 함수에 대한 내용 중 일급객체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일급 객체는 파이썬 뿐만 아니라 자바 스크립트에서도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1) 함수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으며 2) 함수를 함수 호출 시 인자값으로 사용할 수 있고 3) 함수를 함수의 리턴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함수를 1) 호출 ( funtion() )로 사용할 수 있으며 2) 변수에 저장하여 (variable = function)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fun1 = 함수데이터 print("fun1 함수 실행") # fun1 -> , 함수데이터는 그냥 부르면 주소값만 알려줌 print(n, fun1, type(fun1)) # 10 fun1() #일반 함수 호출법 => 함수 변수는 기능하기 위해서(사용하기 위해서), 함수처럼 사용해야함. print.. 2020. 9. 6. 0903_4일차_함수_파라미터 이번에는 함수의 파라미터에 인자값이 들어가는 방법들에 대해 설명합니다. 1. 함수 호출시 파라미터 갯수와 인자값의 갯수가 반드시 일치해야 합니다. Named parameter(******) : 인자값에 파라미터와 동일한 이름을 줍니다. 인자값에 파라미터와 동일한 이름이 부여됐기때문에 인자값의 순서와 상관없이 변수가 대입됩니다. 왜 named factor가 아니라 named parameter일까? """ 함수 호출 방법 1. 함수 호출시 파라미터 갯수와 인자값의 갯수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 #1. 함수 호출시 파라미터 갯수와 인자값의 갯수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 인자값의 순서대로 파라미터 변수에 저장된다. def fun1(n, n2): print(n, n2) # 일반적인 인자값, 이름이 없음.. 2020. 9. 6. 0903_4일차_함수_사용자정의함수 이번엔 함수에 대해 공부하려고 합니다. 함수 중에서도 사용자 정의 함수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함수에는 시스템이 이미 제공하고 있는 빌트인함수와 사용자가 필요할 때 생성해서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함수가 있습니다. def 함수명 (): 으로 사용자정의 함수를 만들 수 있는데 함수명 옆에 파라미터 변수라는 ( 변수 )를 줄 수 있으며, 함수를 사용했을 때 반환값(리턴값)을 줄 수 있습니다. 이 파라미터 변수와 리턴값은 선택적인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 정의 함수는 총 4가지 형태를 갖습니다. 1. 리턴 값과 파라미터를 갖는 함수, 2. 리턴 값을 갖지만 파라미터 변수를 갖지 않는 함수 3. 리턴 값은 없지만 파라미터 변수는 갖고 있는 함수, 4. 리턴 값도, 파라미터 변수도 갖지 않는 함수 함수를 사용하.. 2020. 9. 6. 0903_4일차_반복문_while문 반복문 for문에 이어 또 다른 반복문 while입니다. for문은 반복횟수 예측이 가능할 때 주로 사용하고, while문은 반복횟수 예측이 힘들 때 주로 사용합니다. """ 반복문 1) for문 용도 : 반복횟수가 예측 가능할 때, 주로 사용 문법(Syntax): for 변수 in 집합형: 문장 ==> 집합형의 데이터 갯수만큼 반복처리 2) while문 용도 : 반복횟수의 예측이 힘들 때, 주로 사용 문법(Syntax): 초기변수 = 변수값 while 조건식: 문장 초기변수 증가 / 감소 """ #hello 5번 출력 num = 0 while num < 3: print("hello") # hello # hello # hello num += 1 print("end") # end # 질문 : 반복적으로 이.. 2020. 9. 6.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59 다음